한글 오피스 및 워드에서는 윗주 기능이 제공되지만 웹에서 자신의 웹사이트 혹은 블로그 게시물에 윗주 다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우리말로는 윗주, html 태그의 하나이기도 하고 일본어로 루비(Ruby:일본의 인쇄 용어 중의 하나로 본문 활자 절반 크기로 후리가나를 넣기 위한 활자 혹은 그 자체를 이르는 말)라고도 합니다.
한때 위 예제처럼 "~라고 쓰고 ~라고 읽는다"는 식의 비유가 유행했던 적이 있었죠.
루비는 저런 역할을 해주는 겁니다.
작성 방법은
<ruby>남자<rt>싸나이</rt></ruby>
에디터의 html 편집창에서 루비를 달고자 하는 단어를 찾아서 <ruby>태그를 넣어서 작성하셔야 합니다. 애석하게도 네이버나 다음 블로그는 html 편집을 허용하지 않을테니 티스토리나 블로거(blogger), 워드프레스 외 html 편집이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하시는 분들에게나 해당되는 이야기겠군요.
일본어에 음독(후리가나)가 필요하거나 중국어에 핑잉 표기가 필요하다면 매우 유용한 기능이죠. 물론 수고스러운 작업임은 부정할 수가 없습니다.
만약 韓国人이라는 한자어 한 자 한 자에 루비를 작성하려면 좀 더 수고가 듭니다.
韓国人
<ruby>韓国人<rt>かんこくじん</rt></ruby>
위의 예제는 韓国人이라는 한자 전체에 루비를 적용한 경우이고 아래는 한 자 한 자에 루비를 적용한 예제입니다.
韓国人
<ruby>韓<rt>かん</rt></ruby><ruby>国<rt>こく</rt></ruby><ruby>人<rt>じん</rt></ruby>
그냥 육안으로는 별 차이가 없어 보이지만 이렇게 나누어서 작성하는 방법을 숙지해야 하는 이유는 일본어의 경우 한자와 히라가나, 카타카나를 혼용 기재하기 때문에 루비를 시작하고 맺는 지점을 파악하기 위해서 각 글자에 개별적으로 코드를 삽입하는 방법을 알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韓国の天気は冬は寒くて夏はとても暑いです。
<ruby>韓国<rt>かんこく</rt></ruby>の<ruby>天気<rt>てんき</rt></ruby>は<ruby>冬<rt>ふゆ</rt></ruby>は<ruby>寒<rt>さ</rt></ruby>くて<ruby>夏<rt>なつ</rt></ruby>はとても<ruby>暑<rt>あつ</rt></ruby>いです。
위 예문처럼 한자에는 루비(후리가나)를 달고 히라가나 부분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게 하려면 루비(ruby)의 시작점과 끝을 명확히 해야겠죠.
물론 루비를 달아주는 사이트도 존재하지만 문서 작성 후에 블로그로 복붙을 할 때 블로그를 지원하는 각사의 에디터에서 지원하는 양식들이 달라 원하는대로의 결과가 나오지 않을 수 있기에 어디서 ruby 태그를 열고 닫아 주는 지를 파악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블로깅에 도움이 되길 바라며 이만 포스트를 마무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