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어 속담] 苦しい時の神頼み 급하면 부처 다리를 안는다
![]() |
일본어 속담 苦しい時の神頼み |
苦しい時の神頼み 급하면 부처 다리를 안는다
물에 빠지면 지푸라기라도 잡는 게 사람이죠. 「苦しい時の神頼み」라는 말은, 직역하면 "힘들 때만 신에게 의지한다"라는 뜻입니다. 즉, 평소에는 신이나 부처님을 전혀 생각하지 않다가, 자신이 어려움에 처했을 때만 필사적으로 신이나 부처님께 도움을 청하는 모습을 가리키는 표현입니다. 생각해 보세요, 평소에 별로 친하지 않은 친구가 곤경에 처했을 때만 도움을 요청한다면, 좀 짜증나지 않겠습니까? "왜 평소에는 연락도 안 하다가, 힘들 때만 의지하는 거야!"라는 느낌이죠. "苦しい時の神頼み"도 마찬가지입니다. 신이나 부처님도 "넌, 힘들 때만 나를 찾는구나!"라고 생각하실 수 있다는 겁니다.
즉, 이 말은 "어려울 때만 의지하는" 자기중심적인 태도를 비판하는 표현입니다.
사실 이 속담은 원래는 평소에도 신을 소중히 여기고 기도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가르침을 나타내는 말이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곤경에 처했을 때만 의지하는" 태도를 일반적으로 가리키게 된 것이죠.
예문)
1. 彼は普段からあまり努力しないのに、試験前になると苦しい時の神頼みをして、「どうか合格しますように」とお祈りしています。
"그는 평소에 별로 노력하지 않다가 시험 전이 되면 힘들 때만 신에게 의지하며 "제발 합격하게 해주세요"라고 기도합니다."
2. 会社のプロジェクトが上手くいかなくなると、上司は急に神社に参拝し始めて、まるで苦しい時の神頼みのようでした。
"회사 프로젝트가 잘 안 풀리면, 상사는 갑자기 신사를 찾아가 참배를 시작해서 마치 힘들 때만 신에게 의지하는 것 같았습니다."
3. 彼女は普段は全く宗教に興味がないのに、失業したときだけ教会に行って祈るなんて、まさに苦しい時の神頼みだと思います。
"그녀는 평소에 전혀 종교에 관심이 없는데, 실직했을 때만 교회에 가서 기도하는 것은 바로 힘들 때만 신에게 의지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4. 普段は運動しないのに、健康診断の前日だけ走り始めるのは、苦しい時の神頼みのようなものだ。
"평소에는 운동을 하지 않다가 건강검진 전날만 달리기 시작하는 것은 힘들 때만 신에게 의지하는 것과 같습니다."
5. 子供が病気になると急に神社に参る母親は、まさに苦しい時の神頼みをしている。
"아이가 병에 걸리면 갑자기 신사에 참배하는 어머니는 바로 힘들 때만 신에게 매달리는 셈이죠."
본문에서 사용된 표현
명사(名詞)
彼 그, 그 남자, 그 사람
普段 평소
努力 노력
試験 시험
前 전, 앞
時 때, 시기
神頼み 신에게 의지함
合格 합격
会社 회사
プロジェクト 프로젝트
上司 상사
神社 신사
参拝 참배
宗教 종교
興味 흥미
失業 실직
教会 교회
運動 운동
健康診断 건강검진
前日 전날
子供 아이
病気 병
母親 어머니
동사(動詞)
努力する 노력하다
なる 되다
合格する 합격하다
祈る 기도하다
行く 가다
思う 생각하다
運動する 운동하다
走る 달리다
参る 참배하다, 가다
形容詞(형용사)
急な 갑작스러운
부사(副詞)
まるで 마치
急に 갑자기
全く 전혀
접속사(接続詞)
しかし 그러나
조사(助詞)
は 은/는
から 부터
で 에서
の 의
に 에
を 을/를
が 이/가
だけ 만
なんて ~라니, 라는 것
助動詞(조동사)
よう(です) ~처럼(이다) ~같다
か ~인가(의문)
ない 없다, ~지 않다
댓글